강좌유의사항
(필독) |
# 일정 : 12/05(목) ~ 12/24(목) # 횟수 : 총 12회 # 교재 : 조직행동론(19판)+조직이론과 설계(13판) • 카 페 https://cafe.daum.net/nomu-love [다음 검색] 노무사랑 동행 |
강좌소개 |
# 강의소개 •전세계 대학에서 가장 많이 채택되어 경영조직론의 표준적인 내용으로 가르쳐 지고 있는 로빈슨 교수와 대프트 교수의 교과서를 직접 학습합니다. •경영조직론의 각 개념들에 대한 명확한 이해와 실제 조직에서 가지는 의미를 이해하게 되면, 결코 방대하고 무작정 외워야 하는 내용이 아님을 알 수 있게 됩니다. •노무사 수험 합격이라는 목적에 적합하도록 경영조직론의 행동론과 구조(설계)론에 대 한 체계적 접근을 통해 학습범위 명료화 및 암기의 효율성을 추구합니다. •경영조직론에서 학습하는 이론들이 현실에 적용되는 실사례를 통해 낯선 개념들을 쉽 고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경영조직론과 인사노무관리, 노동법과의 연계를 통한 강화 학습 및 1차 경영학개론에 대해서도 일정 정도 준비를 하게 됩니다.
# 강의진행 1. 경영조직론의 전체 조망도 검토와 당일 진행 부분의 위치 확인을 통해 머릿속 공부 지도 점검 2. 이전 시간 주요 사항의 빠른 점검 3. 공부와 이해, 암기를 위한 교과서의 구조적 구성 분석 및 설명 4. 당일 학습사항에 대한 정리 및 복습과제 부여 후 해당일 강의 종료 |
강좌특징 |
▶경영조직론 공부방법은 그저 단편적 설명과 무조건 암기가 아닙니다. 왜 그런지 이해가 되어야 합니다. ▶논리와 흐름이 있는 교수저 교과서를 차분히 공부하면서 내용을 이해하고, 이해를 바탕으로 암기를 위한 내용 구조화를 하게 됩니다. ▶아무리 분량이 많아 보여도 본질과 핵심을 이해시킴으로써 공부량이 “대폭 줄어들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합니다. ▶비슷한 단어로 적혀 있어도 다른 의미이고, 다른 단어로 적혀 있어도 같은 의미라는 것을 짚어 줍니다(이음동의어, 동음이의어). ▶경영 현장에서의 오랜 실무 경험을 통해 체득한 암묵지를 그러한 경험이 없는 수강생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형식지화 해서 전달합니다. |
오늘날 우리 사회는 놀라운 속도로 변화를 거듭하고 있으며, 이는 조직과 조직 행동에 새로운 도전을 던져준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와 기술 혁신이 어우러져 새로운 조직 환경을 형성하며, 미래학자들은 앞으로 인공지능이 조직의 구성원이 될 것이라고 예측한다. 또한 구성원의 자율성, 역동성, 인간의 관계성, 지속성이 요구됨으로써 조직행동론은 새로운 맥락에서의 이해와 적응이 필요하다.
인공지능의 발전은 조직의 업무 환경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기계학습, 자동화된 프로세스, 데이터 분석은 업무의 효율성을 향상하는 동시에 구성원에게 새로운 역량과 기술을 요구하며, 이로 인해 구성원은 기존의 개념과 모델을 재고해야 한다.
오늘날의 조직은 유연성이 필요하며, 지리적 제약을 넘어 재택근무, 유동적인 일정, 분산된 팀 등이 통상적인 업무 방식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이에 따라 조직에서는 리더십의 새로운 모델과 팀 협업에 대한 새로운 시각이 필요하다. 또한 조직은 다양성과 포용성을 더욱 필요로 한다. 조직 내의 차별 없는 환경은 창의성과 혁신을 촉진하며, 이로써 조직에서의 다양성 관리와 조직 문화의 중요성이 부각될 것이다.
기술 중심의 미래에는 인간성과 윤리적 가치가 더욱 중요해질 것이다. 조직은 기술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면서도 인간 중심의 가치를 고수해야 하고, 기술과 인간의 상호작용에 윤리적 책임과 신뢰의 개념이 필요할 것이다.
조직행동론을 다룬 수많은 교재 중에서 스티븐 P. 로빈스(Stephen P. Robbins)와 티머시 A. 저지(Timothy A. Judge)의 《조직행동론(Organizational Behavior)》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읽히고 있다. 거의 2년마다 개정되는 이 책은 독자가 조직행동론을 더 쉽고 재미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각 장마다 다양한 사례, OB POLL, 윤리적 딜레마, 주요 논점에 대한 학자들의 찬반 이론 등을 담고 있다. 이 책을 통해 독자는 집단과 조직 전체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요인과 효과적인 구성원의 다양성, 동기부여 방법, 리더와 리더십 행동, 다른 사람과의 갈등을 다루는 방법, 권력을 사용하는 방법 등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많은 독자가 자신은 물론이고 다른 사람의 사고, 태도, 행동을 더 잘 이해하고 함께 일하는 효과적인 방식을 배움으로써 더 좋은 직장인으로, 책임감 있는 경영인으로, 훌륭한 조직행동 연구자로 성장해나가길 기대한다.
전 세계에서 가장 성공적인 조직행동론 교재
19판은 조직행동 분야의 교육과 학습에서 최근에 대두되고 있는 가장 시급한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차별화를 유지하고 있다. 조직행동론을 가르치는 강사들은 직장에서 사람들을 이해하는 것과 관련된 발전과 혁신에 보조를 맞추는 데 어려움을 겪곤 한다. 더욱이 학생들이 조직행동론을 배우고 관심을 가지며 이해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모습이 중요하다. 많은 학생은 현재 직장에서 일어나고 있는 변혁적인 사건의 함의를 궁금해 한다.
예를 들어 COVID-19 위기로 인해 원격근무가 효과적인지, 어떻게 일과 삶의 균형을 유지할 것인지, 팬데믹이 어떻게 구성원의 정신적·육체적 웰빙에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동하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팬데믹은 긱 경제의 활성화와 이에 따른 많은 윤리적·실용적인 이슈에 다시 관심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또한 ‘Black Lives Matter’, ‘#MeToo’와 같은 운동은 조직, 리더, 구성원이 평등과 공정성에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다양성을 가치 있게 생각하고 어떻게 증진할 것인지, 포용적인 관행을 어떻게 만들 것인지에 대한 고민을 촉발했다. 그리고 인공지능, 기계학습, 소셜미디어 등의 기술 발전은 조직이 경영하는 방식에 혁신을 가져왔다. 따라서 구성원이 고객, 동료, 리더와 상호작용하는 방식에도 변화가 필요하다.
19판에서는 조직행동의 핵심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이러한 주제를 시의적절하게 다루었다. 18판의 사례와 참고문헌을 절반 이상 업데이트했다. 최근의 학습과 강의의 필요성에 맞게 다양성, 공정성, 포용성, 의사소통, 문화와 변화, 스트레스와 건강에 관한 장은 전면 재검토하여 다시 저술했다. 특히 19판에서는 기업이 직면한 사회적 책임, 공정성, 윤리 등을 다루는 특별 섹션으로 ‘더 나은 세상을 향해’를 추가했다. 또한 교육과 학습 경험을 증진하기 위해 다양한 보충 자료를 제공한다.
19판의 주요 변화
ㆍ 각 장의 도입 사례에서 최신 경영 트렌드와 이벤트를 소개했다.
ㆍ 2장, 11장, 16장, 18장은 조직행동의 최신 관점을 반영하여 내용을 전면적으로 개정했다.
ㆍ 다양성·공정성·포용성, COVID-19와 위기관리, 원격근무, 긱 경제, 인공지능·소셜미디어·기술 등에 관한 조직행동론의 최신 연구를 반영했다.
ㆍ 개념 이해와 실전 적용에 도움이 되도록 실생활과 관련된 최근의 사진과 설명을 담았다.
ㆍ 조직행동론과 관련된 상반된 관점을 ‘찬성 의견/반대 의견’에 제시했다.
ㆍ 조직과 리더가 경험하는 새로운 이슈를 다루기 위해 ‘찬성 의견/반대 의견’, ‘윤리적 선택’, ‘OB POLL’, ‘미신인가, 과학인가’를 개정했다.
ㆍ 최신 이슈에 대해 생각해보도록 ‘실전 연습’, ‘윤리적 딜레마’, ‘사례 삽화’를 개정했다.
ㆍ 각 장의 ‘취업 스킬 매트릭스’, ‘입사 지원과 취업 역량’ 등을 업데이트했다.
No| | 강의명| | 무료보기| | 자료| | 강의시간 |
---|---|---|---|---|
1회 1강 | 12월 05일 : 경영조직론 공부방법 OT | HIGH LOW | 67분 | |
1회 2강 | 12월 05일 : 1. 조직행동이란 무엇인가 p.2 | 83분 | ||
1회 3강 | 12월 05일 : 비윤리적 행동 p.22 | 60분 | ||
2회 1강 | 12월 06일 : 시스템 정당화 p.56 | 67분 | ||
2회 2강 | 12월 06일 : 다양성관리에 대한 이론적 가치 p.70 | 65분 | ||
2회 3강 | 12월 06일 : 빅5 성격 p.150 | 72분 | ||
3회 1강 | 12월 09일 : 성격와 감정 p.106 | 73분 | ||
3회 2강 | 12월 09일 : 태도 (직무태도) p.80 | 68분 | ||
3회 3강 | 12월 09일 : 지각과 개인적의사결정 p.174 | 63분 | ||
4회 1강 | 12월 10일 : 의사결정에 대한 영향 : 개인차와 조직적인 제한 p.193 | 67분 | ||
4회 2강 | 12월 10일 : 현대 동기부여 이론 : 내용기반 p.218 | 68분 | ||
4회 3강 | 12월 10일 : 8. 동기부여 : 개념에서 적용으로 p.244 | 86분 | ||
5회 1강 | 12월 13일 : 긍정적 규범과 집단성과 p.287~ | 68분 | ||
5회 2강 | 12월 13일 : 효과적인 팀 창조하기 p.314~ | 60분 | ||
5회 3강 | 12월 13일 : 의사소통 방법 선택 p.349~ | 72분 | ||
6회 1강 | 12월 16일 : 행동이론 p.381 | 70분 | ||
6회 2강 | 12월 16일 : 서번트 리더십 | 65분 | ||
6회 3강 | 12월 16일 : 자동적 처리와 동제적 처리 p.481 | 62분 | ||
7회 1강 | 12월 17일 : 갈등유형 p.461 | 65분 | ||
7회 2강 | 12월 17일 : 조직문화와 변화 p.528 | 67분 | ||
7회 3강 | 12월 17일 : 조직변화의 관리를 위한 접근법 p.560 | 78분 | ||
8회 1강 | 12월 18일 : 조직과 조직설계 p.10 | 75분 | ||
8회 2강 | 12월 18일 : 주요 상황성 p.37 | 63분 | ||
8회 3강 | 12월 18일 : 전략과 조직설계 선택을 위한 2개의 틀 p.71 | 65분 | ||
9회 1강 | 12월 19일 : 조직구조의 기초 p.104 | 70분 | ||
9회 2강 | 12월 19일 : 매트릭스 구조 p.131 | 66분 | ||
9회 3강 | 12월 19일 : 환경의 복잡성과 동태성 p.171 | 60분 | ||
10회 1강 | 12월 20일 : 조직간의 관계 P.197 | 87분 | ||
10회 2강 | 12월 20일 : 글로벌 환경을 위한 조직 설계 P.238 | 55분 | ||
10회 3강 | 12월 20일 : 글로벌 지역 사업부 구조 P.262 | 56분 | ||
11회 1강 | 12월 23일 : 기업의 사회적 책임 p.298 | 65분 | ||
11회 2강 | 12월 23일 : 스마트 공장 p.341 | 62분 | ||
11회 3강 | 12월 23일 : 디지털 조직설계 p.382 | 73분 | ||
12회 1강 | 12월 24일 : 조직의 규모, 수명주기 및 쇠퇴 p.429 | 69분 | ||
12회 2강 | 12월 24일 : 10.5 관료주의와 기타 통제형태 p.454 | 71분 | ||
12회 3강 | 12월 24일 : 11.3 문화 강도와 하위문화 p.488 | 62분 | ||
13회 1강 | 12월 25일 : 12.4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 p.527 | 69분 | ||
13회 2강 | 12월 25일 : 챕터13 의사결정 과정 p.562 | 70분 | ||
13회 3강 | 12월 25일 : 13.5조직 의사결정과 변화 p.593 | 65분 | ||
14회 1강 | 12월 26일 : 14.1C 협력증진을 위한 책략 p.628 | 77분 | ||
14회 2강 | 12월 26일 : 14.3 조직에서의 정치적 행동 p.647 / 종강 | 37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