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5 엄태석 생물 중급강의
|
* 강의일정 : 2025. 8. 6(수) ~ 8. 27(수), 총 8회
* 교 재 : (주교재) 생물 개념이론서 [제본] | (부교재) 생물 중급강의 자료 [제본]
○ 명불허전(名不虛傳) 핵심 생물 과정
○ 비전공자와 전공자 모두 이해하기 쉽고, 명쾌한 생물 강의
○ 학생과 속도를 맞추는 핵심을 전달하는 생물 강사
1. 비전공자와 전공자 모두 이해하기 쉽고, 명쾌한 생물 강의.
: 실생활의 비유를 통한 마인드 맵 연상기법을 이용
2. 생물을 일상생활에 비유하여, 쉽게 학생들의 머리에 각인시키는 생물 강의!!
3. 내일 지구가 멸망해도 생물복습은 미루지 말자.
(복습은 수업한 날 반드시 해야 함)
4. 학생과 속도를 맞추는 핵심을 전달하는 생물 강사.
※ 단계별 전략
Ⅰ. 대부분 문항수가 많은 단원 : 세포분자생물학, 인체생리학
→ 전체적인 내용이해와 학습이 필요함. 단원별 내용 이해 후에 문제풀이를 해야 함.
① 세포분자 생물학 : 학생들이 친숙하지 않은 세포와 분자생물학은 처음 개론 이해 시 어렵게 느끼지만 비교적 단답형과 이론 중심의 기출문제 많아서 문제풀이 시 비교적 수월하다.
② 인체(동물)생리학 : 소화, 순환, 호흡, 배설 등과 같은 학생들의 친숙한 내용을 다루기 때문에 처음 개론 이해 시 쉽게 공부하지만, 앞에 세포분자생물학과 연계해서 나오는 통합적인 문제가 가끔 나오기 때문에 오히려 정답을 추론하기가 어렵다.
그리하여 세포분자생물학을 완벽히 이해 후 생리학을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Ⅱ. 문항수가 비교적 적은 단원 : 식 생 분 진
→ 전체 단원을 꼼꼼히 학습하기보다 빈출내용을 보다 집중적으로 학습하는 것이 고득점 취득에 효과가 있다.
① 생태학 : 방대한 내용에 비해 문항수는 적은 편임 → 주로 개체군, 군집생태학에서 대부분 출제됨.
② 진화학 : 소진화/대진화에 대한 내용 중 유전학과 연계된 ‘집단 유전학(하디-바인베르그의평형)’의 출제빈도가 높음.
③ 분류학 : 계통수와 계통군의 이해를 묻는 문제가 자주 출제됨.